상단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본문 하위메뉴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스크롤탑

서울소식

일회용품 없는 장례문화, 서울시가 만들어갑니다!

작성자서울에너지드림센터 등록일2025.10.29 조회수16

출처 : 서울특별시 기후환경본부 기후환경정책과 https://news.seoul.go.kr/env/archives/565011


251021_기후환경본부_에코의 모든 것_장례식장 다회용기_v2_대지 1

 

국내 일회용 접시 사용량 중

20%가 사용되는 '이곳'은?

 

251021_기후환경본부_에코의 모든 것_장례식장 다회용기_v2-02

 

전국 장례식장에서 한 해동안 배출되는

일회용품 쓰레기는 3억 7,000만 개!

짧은 시간 안에 수많은 조문객이 몰리는

장례식장은 음식을 빠르게 대접하다보니 사용되는

일회용품의 양 또한 상당한데요.

2인 상만 차려도 20개의 일회용품이

한 번 쓰고 버려져요.

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장례식장 한 곳당

연간 밥·국그릇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용기는 72만 개,

접시류는 144만 개가 사용된다고 해요.

 

251021_기후환경본부_에코의 모든 것_장례식장 다회용기_v2-03

 

회용품 없는 장례문화,

서울시가 만들어 갑니다!

서울시는 친환경 장례문화를 위해

2023년부터 장례식장에 다회용기를 도입했어요.

밥, 국, 찬그릇은 물론 수저, 젓가락, 물잔, 식탁보까지

모두 다회용기로 사용되는데요!

이를 통해 25년 9월까지

총 489t의 일회용품을 감축했답니다.

이는 100리터짜리 종량제봉투

2만 6,500장에 해당하는 양이에요.

 

251021_기후환경본부_에코의 모든 것_장례식장 다회용기_v2-04

 

일회용품이 아니어서 더 정성스럽다!

25년 9월 기준, 서울 시내 시립병원 3곳과

삼성서울병원 총 4곳에서 참여하고 있는데

현장의 반응은 긍정적이에요.

만족도 조사 결과, '일회용품이 아니어서

더 정성스럽게 느껴졌다'는 평이 주를 이뤘답니다.

한 번 쓴 다회용기는 전문업체가 수거한 뒤

세척해 다시 공급하며, 미생물 검사 기준치 또한

민간에서 통용되는 수준보다 10배 높게 마련되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어요!

 

251021_기후환경본부_에코의 모든 것_장례식장 다회용기_v2-05

 

점점 더 확대될 장례식장 다회용기!

일회용품 없는 사회,

서울시가 만들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