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본문 하위메뉴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스크롤탑

홍보자료

[251010] 서울에너지드림센터, 갯벌생태해설사 간이교육과정 성료

작성자서울에너지드림센터 등록일2025.10.10 조회수77

 
 
 <2025년 갯벌생태해설사 간이교육과정 사진(위: 갯골생태공원, 아래: 용유도 남북동 갯벌)>



서울에너지드림센터, 갯벌생태해설사 간이교육과정 성료


 

- 대한민국 환경교육의 중심 수도 서울에서 갯벌생태해설사 29명 배출

- 13개 과목, 30시간의 간이교육과정 및 필기평가해설시연 평가 통한 공신력 확보

- 인류세와 기후위기 시대, 갯벌생태계 보전 및 현명한 습지 이용 등에 큰 역할 기대


해양수산부 지정 국내 유일 갯벌생태해설사 양성기관인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간이교육과정을 통해 갯벌생태해설사 29명을 배출했다고 1010() 밝혔다.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평화의 공원에 위치한 국내 최초 에너지자립형 친환경 공공건물로, 서울 도심 속에서 환경·에너지·기후변화에 관련된 다양한 체험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이다.

○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서울특별시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광역환경교육센터(지정: ’24. 5. 2)로 지정된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환경학습도시 서울의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해 광역환경교육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갯벌 및 그 주변지역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복원에 관한 법률(약칭 : 갯벌법) 30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16조에 따라 지난 202410, 서울에너지드림센터를 국내 첫 갯벌생태해설사 양성기관으로 지정하였다.

간이교육과정은 습지보전법의 갯벌생태안내인, 어촌어항법의 바다해설사, 환경교육법의 해양환경교육사, 자연환경보전법의 자연환경해설사 등 관련 자격과정을 이수한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4개 분야, 13개과 30시간으로 구성된 갯벌생태해설사 간이교육과정을 통해 갯벌생태계부터 해설기획까지 이론 및 실습 과정의 교육과정을 운영하였다.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92일부터 911일까지 센터 및 수도권 내 갯벌 현장에서 매주 화··목요일, 2주간 총 6일에 거쳐 해설안내’, ‘갯벌생태계의 이해’, ‘인문사회환경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등 총 4개 분야, 13개 과목 30시간의 간이교육과정을 운영하였다.

이번 간이교육과정에 참여한 교육생은 전원 수료하였으며, 1차 필기시험과 2차 해설시연 평가를 통해 총 29명의 갯벌생태해설사가 최종 배출되었다. 이는 갯벌법에 따른 첫 번째 간이교육과정이자, 상반기 기본교육과정을 포함해 법 제정 이후 두 번째로 배출된 사례로, 올해까지 갯벌생태해설사는 55명이 되었다.

 

이용성 센터장(서울에너지드림센터·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기후위기와 생태위기, 환경재난의 이슈 속에서 갯벌생태해설사는 해양환경 보전 및 갯벌 생태계의 건강성 회복, 그리고 생태관광 등 습지의 현명한 이용 등을 위해 생태적 인식 전환과 지구생태시민 양성의 촉진자로 중요한 역할을 가진다.”라며, “앞으로도 생태적 소양을 갖춘 전문인력 양성과 지속가능한 갯벌생태 활성화 실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썸네일 2025 갯벌생태해설사 간이교육과정_갯골생태공원.jpg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