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본문 하위메뉴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스크롤탑

홍보자료

[250928] 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 「광역-기초센터협의회 2차 회의」 개최

작성자서울에너지드림센터 등록일2025.09.28 조회수105

 
 
 <서울특별시 광역-기초환경교육센터 2차 협의회 사진자료>



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 광역-기초센터협의회 2차 회의개최


 

- 광역-기초센터 협력과 교류를 통한 지역환경교육 기반 강화 및 활성화 도모

- 광역-기초 협력 기반 기초환경교육센터 활성화 위한 운영 체계 및 주요 현안 논의

- 파트너십에 기반한 서울 환경교육 활성화 및 지속가능한 협력체계 구축


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센터장 이용성)는 지난 25(), 강서구기초환경교육센터(에코 롱롱 큐브)에서 2025년 서울특별시 제2차 광역-기초환경교육센터 운영협의회를 개최하여 기초환경교육센터의 현안 공유와 협력을 통해 환경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이하 광역센터)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서울특별시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서울에너지드림센터에 지정된 광역환경교육센터로 광역환경교육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기초환경교육센터(이하 기초센터)는 총 16개소(20259월 현재)로 현재 25개 자치구 중 14개 자치구(강서구, 관악구, 금천구, 노원구, 도봉구, 동대문구, 마포구, 서대문구(1·2), 서초구, 성동구, 은평구(1·2), 종로구, 중구, 중랑구 등)에 지정되어 있으며, 자치구의 지역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번 2차 협의회에서는 2024~2025년도의 협의회 운영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2026~) 파트너십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한 협의회 운영 방향, 신규·기존 지정 기초센터 지원 방안, 광역-기초 및 기초-기초 단위의 교류와 협력 활성화를 통한 기초센터 성장 전략 등이 논의되었다.

협의회는 앞으로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통해 주요 현안에 대한 논의, 기초센터의 역량 강화, 상호방문을 통한 협력 기반 조성, 서울시자치구 담당자와의 논의 구조 마련 등 단계적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는 2026년부터 서울의 환경교육을 한 단계 도약시키고, 광역-기초 연계와 지역 협력을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 모델을 확립하기 위한 주요 비전으로 제시되었다. 다만, 이러한 추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기초센터의 기본 시스템과 체계적 지원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었다.

또한 기초단위의 교류와 파트너십 강화를 강조하며, 향후 사업 연계성과 공동 추진 가능 분야를 발굴해 서울 환경교육 활성화와 기초센터 성장을 위한 모범 사례 마련 등을 논의하였다.

 

이용성 센터장(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지속적인 광역-기초 협의회를 통해 광역-기초뿐 아니라 기초-기초 간 협력과 네트워크도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서울 환경교육 활성화와 기초센터 성장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생태문명 전환과 환경학습도시 서울의 비전을 실현하는 광역 환경교육 거점으로서, 광역-기초 연계를 통해 지역 기반의 다양한 환경교육 자원을 연결하고, 시민·학교·지역사회가 함께 참여하는 통합적 환경교육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미래세대의 생태전환 역량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서울을 만들어 가겠다고 덧붙였다.

썸네일 250925 서울 광역-기초 2차 운영협의회 사진 (1).jpg (대표)